전체 글
-
기획 문서 - 기획에서 필요한 문서를 알아보자기록 2025. 6. 25. 13:51
[문서 목록]기능 명세서(Feature List): 페이지별 또는 기능별 세부 설명요구사항 정의서: 비즈니스 요건, 시스템 요건, 비기능 요건 등 포함유즈케이스(Use Case) 문서: 사용자 행동과 시스템 반응 중심 정리와이어프레임: 화면 구성의 초기 설계안 (주로 기획자가 직접 작성)스크린 플로우(Sitemap): 전체 메뉴 구조와 화면 흐름도모든 문서의 형태는 다르겠지만.. 나의 경우를 서술한다. 프로젝트별로 위의 모든 문서를 작성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, 위의 문서를 다 작성했다고 기획이 끝난 것도 아니다. 필요한 문서가 뭔지 의사소통을 통해서 알아내야한다. 기능명세서기능명세서 - 엑셀로 작성,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어 필요한 기능을 작성한다. 요구사항 정의서어떤 요구사항이 필요한지 엑셀로 작..
-
consumer = stateFront-end 2024. 6. 18. 00:14
Consumer는 Flutter의 provider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위젯 중 하나로, 상태를 소비하고 해당 상태에 따라 UI를 빌드하는 역할을 합니다.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:특정 상태를 읽고 UI에 반영: Consumer 위젯 내부에서 상태를 읽고, 이 상태에 따라 UI를 업데이트합니다. 예를 들어, EventProvider 클래스가 상태를 관리하고 있다면, Consumer 내부에서 해당 상태를 읽어서 이벤트 목록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.부분적인 UI 갱신: Consumer는 자체적으로 갱신됩니다. 즉, 상태가 변경될 때 해당 Consumer 내부의 UI만 다시 렌더링됩니다. 이는 성능을 향상시키고, 불필요한 전체 UI의 리빌드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Expanded( ..
-
gitlab - host, 호스팅 파일 수정 git 설정 오류Front-end 2024. 4. 15. 15:28
[에러메세지] ssh: Could not resolve hostname gitlab.local.intsoft.kr: nodename nor servname provided, or not known fatal: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y. 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rrect access rights and the repository exists. 1. ping 찍어보기 ping [사이트 url] ping 이 안찍힘 -> url 문제 로컬 시스템의 호스트 파일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. 호스트 파일을 수정하면 특정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해석하도록 지시할 수 있음. 2. 호스트 파일 열기 sudo nano /etc/hosts 3. 호스..
-
마커에 infoView표시하기Front-end/HTML 2024. 3. 1. 23:19
function createMarker(labelContent, lat, lng) { var markerOptions = { position: new naver.maps.LatLng(lat, lng), map: map }; var marker = new naver.maps.Marker(markerOptions); var contentString = [ '', ' 마커 정보', ' 마커 내용: ' + labelContent + ' ', ' 좌표: ' + lat + ', ' + lng + '', '' ].join(''); var infowindow = new naver.maps.InfoWindow({ content: contentString }); naver.maps.Event.addListener(mark..
-
NavigationStack에서 title Zstack사용으로 여백이 생김Swift/SwiftUI 2024. 2. 22. 21:46
상황 floatingButton 때문에 ZStack은 써야하는 상황 List를 띄우니 여백이 많이 남는다. struct ContentView: View { @State var diaryStore:DiaryStore = DiaryStore() var body: some View { NavigationStack{ ZStack { ListView(diaryStore: $diaryStore) VStack { Spacer() HStack { Spacer() Button(action: { print("플로팅 버튼이 클릭되었습니다.") }) { Image(systemName: "plus") .font(.title) .padding() .background(Color.blue) .foregroundColor(.whit..
-
[SwiftUI] 플로팅 버튼 만들기Swift/SwiftUI 2024. 2. 22. 11:43
안드로이드에서 주로 쓰이는 UI인 플로팅 버튼을 만들어봅시다. [구조 파악] 1. Zstack으로 ScrollView를 아래에, floatingButton을 위에 띄워준다. 2. spacer를 두개 줘서 왼쪽 아래에 floatingButton을 위치시킨다. (Hstack, Vstack 이용) struct ContentView: View { @State private var isButtonVisible = false let pages = [ "page1","page2","page3" ] var body: some View { ZStack { ScrollView{ VStack { ForEach(pages,id: \.self) { image in Image(image) .resizable() .aspectRa..
-
MVVM / MVCSwift 2024. 2. 21. 22:11
M/V/C - Model / View / ViewController M/V/VM - Model / View / ViewModel MVC에 ViewController의 책임이 과해져서 이를 ViewModel에 덜어준다. 한마디로, Data를 가지고 있는 instance/로직을 ViewModel에 전가함. MVVM의 View는 그냥 보여주기만 하는 친구임 MVVM의 View MVC의 ViewController 있는 것 ViewModel Data를 가지고 있는 instance 없는 것 Data를 가지고 있는 instance (이를 ViewModel로 보냄) - 의존성 기반으로도 참고 MVC 패턴은 주로 전통적인 GUI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며, 애플리케이션을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분리합니다: - M..